[중요] <韓國放送通信大學校 2010-1 민법총칙 C형 A+資料>법률행위의 의사표시의 장애에 대한 심층적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6 15:45본문
Download : 의사표시 [민법총칙][2].hwp
다. 표시의사는 의사표시의 요소에 넣지 않는 것이 좋다. 사회생활에서 개인의 교섭은 모두 외형적인 행위를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의사표시는 표시행위를 순수히 객관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정당하다. 내심의 의사는 표시행위를 통하여 그 效果의사가 추단(推斷)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로고스 민법총칙 - 이준현
제2장 통정한 허위의사표시
Ⅰ. 비정상적 의사표시
* 제 107조 [ 眞意아닌 意思表示 ]
비진의의사표시,민법총칙,법률행위,법률행위의의사표시장애,의사표시장애
민법강의 - 지원림
Ⅱ. 의사표시의 효력발생시기
학자들은 보통 의사표시의 요소를 그 심리적 과정에 따라서 ① 개인이 일정한 效果를 의욕하는 의사(效果意思)를 결정하고, ② 이 의사를 발표하려는 의사(表示意思)를 가지고, ③ 그 의사의 발표로서의 가치를 가진 행위(表示行爲)를 한다고 설명(explanation)한다.
제4장 하자있는 의사표시
제1장 진의 아닌 의사표시(비진의표시)
(1) 의사표시는 표의자가 진의 아님을 알고 한 것이라도 그 효력이 있다아 그러나 상대방이 표의자의 진의 아님을 알았거나 이를 알 수 있었을 경우에는 무효로 한다.
- 韓國放送通信大學校 2010-1 법학과 2학년 민법총칙 C형 참고資料입니다
Ⅳ. 의사표시의 공시송달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Download : 의사표시 [민법총칙][2].hwp( 66 )
Ⅲ. 의사표시의 수령능력
[참고資料] 민법총칙 - 곽윤직
- 방통대 2010-1 법학과 2학년 민법총칙 C형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민법총칙 - 곽윤직 민법총칙 - 홍성재 로고스 민법총칙 - 이준현 민법강의 - 지원림 민법학강의 - 김형배
설명
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제2장 의사표시의 도달의 效果
제1장 진의 아닌 의사표시(비진의표시)
민법학강의 - 김형배
Ⅰ. 비정상적 의사표시
- 의사표시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법률요건(法律要件)이 법률행위(法律行爲)이다. 독일에서는 한때 의사표시의 the gist을 의사라고 하는 의사설(意思說)이 지배한 때도 있었지만, 다음에 표시설(表示說)로 변한다 가 지금은 표시를 주로 하면서 의사에 대한 고려를 가미한 절충적 입장을 취한다. 근대 사법(私法)은 ‘사적 자치(私的自治)’를 근본원칙의 하나로 하기 때문에, 의사표시 내지 법률행위는 대륙법에 있어서 권리의 변동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제1장 의사표시의 효력발생시기
![의사표시 [민법총칙][2]-2455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4/%EC%9D%98%EC%82%AC%ED%91%9C%EC%8B%9C%20%5B%EB%AF%BC%EB%B2%95%EC%B4%9D%EC%B9%99%5D%5B2%5D-2455_01.gif)
![의사표시 [민법총칙][2]-2455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4/%EC%9D%98%EC%82%AC%ED%91%9C%EC%8B%9C%20%5B%EB%AF%BC%EB%B2%95%EC%B4%9D%EC%B9%99%5D%5B2%5D-2455_02_.gif)
![의사표시 [민법총칙][2]-2455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4/%EC%9D%98%EC%82%AC%ED%91%9C%EC%8B%9C%20%5B%EB%AF%BC%EB%B2%95%EC%B4%9D%EC%B9%99%5D%5B2%5D-2455_03_.gif)
![의사표시 [민법총칙][2]-2455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4/%EC%9D%98%EC%82%AC%ED%91%9C%EC%8B%9C%20%5B%EB%AF%BC%EB%B2%95%EC%B4%9D%EC%B9%99%5D%5B2%5D-2455_04_.gif)
![의사표시 [민법총칙][2]-2455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4/%EC%9D%98%EC%82%AC%ED%91%9C%EC%8B%9C%20%5B%EB%AF%BC%EB%B2%95%EC%B4%9D%EC%B9%99%5D%5B2%5D-2455_05_.gif)
[중요] <韓國放送通信大學校 2010-1 민법총칙 C형 A+資料>법률행위의 의사표시의 장애에 대한 심층적 고찰
제3장 착오로 인한 의사표시
민법총칙 - 홍성재
- 다양한 資料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2) 전항의 의사표시의 무효는 선의의 제3자에게 대항하지 못한다. 이들 중에서 가장 the gist을 이루는 것은 표시행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