쯔쯔가무시병 (Tsutsugamushi Disease)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3 16:12
본문
Download : 쯔쯔가무시병 (Tsutsugamushi Disease).ppt
다.쯔쯔가무시병 , 쯔쯔가무시병 (Tsutsugamushi Disease)자연과학레포트 ,
개요 및 역학
병원체
전파경로
임상 증상 및 합병증
진단
신고기준
치료
예방
Cause :쯔쯔가무시 리켓치아
감염 및 전파경로
- 좀 진드기가 서식 하고 있는 관목과 잡목이 있는 숲에서 전염
- 털 진드기의 유충이 사람을 물어서 전파
- 진드기의 기생숙주는 집쥐, 들쥐, 둘새 등의 야생 설치류
- 사람과 사람사이는 직접전파는 하지 않음
병원체
❑ Orientia tsutsugamushi
❑ 그람 음성균으로 Giemsa염색시 짙은 보라색의 간균 혹은 단간균
❑ 절대 세포내 기생세균으로서 숙주세포의 세포질에서 증식
❑ 크기 ; 0.5∼0.7 x 1.2 ∼ 2.5 ㎛
❑ 50 °C에서 10분이면 사멸하며, 0.1 % 포르말린,
❑ 0.5 % 석탄산액에서 쉽게 사멸
❑ 동결 상태에서는 살 수 있으나 동결 건조하면 사멸
▶ 쯔쯔가무시균의 혈청형은 병원성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혈청형에 따라 진드기의 종류도 다를 것으로 추정
▶ 전통적 혈청형 : Gilliam, Karp, Kato
▶ 우리나라 혈청형 : 보령 (Boryong), Gilliam, Karp, 연천(Yonchon)
▶ 기타 : TA678, TA716,TA763, TH1817, Kawasaki, Shimokoshi,Kuroki 등
전파경로
Ϯ…(To be continued )
Download : 쯔쯔가무시병 (Tsutsugamushi Disease).ppt( 19 )
레포트/자연과학
순서
쯔쯔가무시병
쯔쯔가무시병 (Tsutsugamushi Disease)
쯔쯔가무시병의 전파경로와 증상, 진단방법, 치료 및 예방법에 대상으로하여 조사하였습니다.
,자연과학,레포트
_ppt_01.gif)
_ppt_02.gif)
_ppt_03.gif)
_ppt_04.gif)
_ppt_05.gif)
_ppt_06.gif)
설명
쯔쯔가무시병의 전파경로와 증상, 진단방법, 치료 및 예방법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