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교육과 상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9 23:20
본문
Download : 기독교 교육과 상담.hwp
즉 현재는 특별히 비난받을 행위를 하고 있지 않으나 문제의 가능성이 농후한 靑少年들, 예를 들면, 문제소년들과 어울려 다닌다거나 학업에 충실하지 않고 거리를 배회한다던가, 유해장소에 출입한다던가 하는 자들의 경유인데 이 경우는 일단 비행자 연구의 대상이 된다고 본다. 즉 밖으로 나타난 비행 중에서 비난의 정도가 심한 행위를 계속적으로 반복하는 자들만을 비행으로 보고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 경우는 지속적, 반복적인 비행행위여야 하기 때문에 비행의 정도가 약한 일반적, 통상적인 행위들, 즉, 욕설이나 단순한 방황들은 비행으로 보지 않는다. 이는 행위자 중심의 theory(이론)인데 이에 의하면 나타난 비행뿐 아니라 성정적으로 잠재되어 있는 비행행위도 문제가 된다된다. 이 경우는 정상적인 선량한 사람에 의한 우발적, 일회적인 일탈행위는 비행이라 하지 않고 일정한 기간동안 비행행위를 계속하는 비행소년이라고 말할 수 있는지에 의한 행위만을 비행으로 보는 견해이다. 규범을 어겼다고 해서 모두 비행으로 간주할 것이 아니고 규범을 어긴 행위 중에서 일정한 행위만이 비행으로 연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기독교교육과상담 , 기독교 교육과 상담인문사회레포트 ,
기독교 교육과 상담에 대한 글입니다.
다.
한편 우리 사회에서의 비행소년은 “형벌 법령특별법에 저촉되는 행위를 했거나 또는 環境에 비추어 볼 때 장래 이에 저촉되는 행위를 할 우려가 있는 12세 이상 20세 미만의 범죄. 비행 소년”을 말한다. 여기에서 한가지 꼭 유념해야 할 것은, 사회에서 이상한 생활과 행동을 한다해서 꼭 비행 행위자라고 할 수 없다는 점이다. 즉, 자살, 동성연애, 매음, 알콜중독, 방랑 등을 하는 자들이나 정치범과 같이 사회에 피해는 주지만 범죄가 아닌 경유가 그것이다. 이 견해는 양자의 입장을 모두 취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행위자에 초점을 맞춘 theory(이론)으로 이해되어진다. 셋째로, 앞의 두 경유 즉 비행행위 중심과 비행자 중심의 theory(이론)을 종합한 견해이다.
Download : 기독교 교육과 상담.hwp( 63 )
기독교교육과상담
둘째로, 靑少年의 비행을 비행이라는 행위보다 비행을 한 사람을 중심으로 보는 견해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靑少年 비행…(To be continued )
레포트/인문사회
기독교 교육과 상담


순서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기독교 교육과 상담에 대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