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구술data(자료) 관리 현재상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4 02:19
본문
Download : 한국의 구술자료 관리 현황.hwp
『주민생애사를 통해본 20세기 서울 현대사』에서 4명의 연구자들은 구술자와 연구자의 관계에 대해 연구자가 分析한 글(‘연구과정’, ‘서술형식’, ‘삶의 맥락’, ‘구술생애사의 텍스트화’ 등)을 서두에 제시하고, 생애과정과 주제에 따른 구술資料를 인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따 내용을 보면, 연구자의 질문은 이야기의 맥락상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만 삽입을 하여 전체적인 가독성을 높였다. 연구자들에게 資料의 가치와 객관성, 효…(To be continued )
Download : 한국의 구술자료 관리 현황.hwp( 22 )
기록학 측면에서도 구술자료를 문헌자료와 마찬가지 대열로 상정하고 구체적으로 어떻게 수집하고 관리, 활용하는가 하는 방안에 대해서 살펴본 자료입니다. , 한국의 구술자료 관리 현황인문사회레포트 ,
한국의 구술data(자료) 관리 현재상황
기록학 측면에서도 구술data(자료)를 문헌data(자료)와 마찬가지 대열로 상정하고 구체적으로 어떻게 수집하고 관리, 활용하는가 하는 방안에 대상으로하여 살펴본 data(자료)입니다. 또한 연구과정과 편집과정을 밝히고 구술자가 책의 편집과정에 함께 참여하여 공동연구로서의 의미를 높인 점이 특색이다.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다.순서
설명
1. 들어가며 - 구술資料의 성격과 기능
2. 구술資料관리 present condition
1) 수집 및 관리present condition
2) 활용present condition
3. 구술資料관리 - 어떻게 할 것인가
1) 구술資料 수집 어떻게 해야 하는가
2) 구술資料관리방안(方案)
『주민생애사를 통해본 20세기 서울 현대사』는 서울시내 거주 4명을 대상으로 인류학적인 관점에서 구술생애사를 구성한 결과물이다. 그러나 資料에 대한 가공이 이루어졌다는 점을 볼 때 구술資料관리의 측면에서는 아쉬움이 남는다. 인사동 한정식집 ‘한성’ 할머니(정재영), 황학동 골동품 시장 김광자 아주머니, 약사였던 신현경 할머니, 종로거리 야당 정치사의 증인 함기환 할아버지 등 4명이 구술자이다. 이러한 점으로 인해 일반독자들이 20세기 서울 현대사를 이해하고, 구술資料의 택스트화에 대한 연구로서 또 다른 의미를 갖는다.
3. 구술資料관리 - 어떻게 할 것인가
구술資料는 문헌資料와 마찬가지로 資料적 한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